‘혐오·갈등 조장’ 가짜뉴스 득실거려도
구글 등 플랫폼社 “팩트체크 의무화 반대”
“팩트체크, 플랫폼 성장에도 필요” 분석도
가짜뉴스나 음모론 등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심화하고 있지만 유튜브 등 주요 플랫폼 기업들은 허위 정보를 차단할 팩트체크 기능을 축소하거나 폐지하며 사실상 혼란 가중을 방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플랫폼이 더 영토를 넓히고 기술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라도 팩트체크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플랫폼은 뉴스 소비의 주요 경로로 자리 잡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4 언론수용자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포털을 통한 뉴스·시사정보 이용률은 72.2%로 텔레비전과 함께 공동 1위를 기록했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가 언론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응답도 65.1%에 달했다.
강한 영향력에 비해 위험 정보에 대한 ‘안전 조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구글, 메타, X(엑스·옛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 등 90개 플랫폼 기업에 접수된 허위 정보·불법 영상물 신고는 총 14만8813건이었으나 실제 조치가 취해진 것은 8만1578건에 그쳤다.
(중간 생략)
문가들은 팩트체크 기능 부재가 플랫폼의 기술적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품질이 낮은 허위 정보가 대량으로 유통되면 플랫폼 기업들이 개발·활용 중인 대규모언어모델(LLM)의 학습 데이터 세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재식 한국과학기술원(KAIST) AI대학원 교수는 “허위 정보가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면 인공지능(AI)이 잘못된 정보를 학습해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며 “결과적으로 AI는 물론, 그걸 활용하는 플랫폼 자체의 신뢰도와 점유율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팩트체크 활성화가 플랫폼의 장기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팩트체크를 통해 플랫폼에 품질이 우수한 데이터가 대량 생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플랫폼이 신뢰도 제고는 물론 LLM의 학습 데이터 세트 품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사 전문 확인 (URL 클릭)
[출처] 김송현 기자 | 매일경제
당사 웹사이트에 공유된 모든 보도 자료는 부분적으로 발췌되었습니다. 콘텐츠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원래 게시자의 재산으로 유지됩니다.
원본 게시자의 허가 없이 공유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사, 복제 또는 재배포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