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PRESS
전략기술 투자 확대,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 추진
작성일 2025.4.9조회수 203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
최고위 민·관 협력체계 구축

분야별 우수인재 육성·유치
R&D 성과 창출 방안 강구

국가전략기술 확인 기업에
특례 상장, 금융 지원 강화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R&D) 분야 민·관이 함께 전 세계 기술패권 경쟁 속 주도권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날 논의를 토대로 전략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차세대 성장동력을 발굴하며 인재 양성과 제도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의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를 개최했다.

이날 자리는 대내외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 산·학·연의 역량을 총결집하고자 마련됐다.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와 더불어 인공지능(AI) 전환으로 기술패권 경쟁이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등 경제·산업에 어려움이 현실화하고 있다. 이에 국가전략기술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주권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근거로 신산업, 미래 공급망, 국가안보 차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은 국가전략기술에 R&D 투자·지원을 집중하고 있으며, 올해는 6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중간 생략)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술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민·관 역량을 결집하는 게 중요하다”며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재를 키우고 우수 인재 이탈은 막되 세계 최고의 인재가 유입되는 인재 생태계를 구현하고, 국가전략기술 우수 성과가 신속하게 사업화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대화에 이어서는 국가전략기술 확인서 수여식이 열렸다. 지난해 3월 개시한 국가전략기술 확인제도는 산·학·연이 보유·관리하고 있거나 R&D 중인 기술에 대해 국가전략기술 해당 여부를 확인해주는 제도다. 지금까지 알지노믹스, 디씨티 머티리얼, 페리지 에어로스페이스, 진코어, 레티널, 인이지 등 6개 기업이 확인을 받았다.

국가전략기술 확인 기업은 ‘초격차 기술 특례’ 상장이 가능하다. 또 올해부터는 병역지정업체 선정 시 가점 부여, 정책금융 지원 등 혜택을 강화했다.

확인서 수여식에서 유 장관은 “국가전략기술 육성은 정부의 힘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며, 여러분의 열정과 헌신이 그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R&D 성과가 연구실을 넘어 새로운 경제·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건강한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해 범부처 협력으로 기술·기업 성장 전주기 지원을 확대하고 분야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오늘 모인 기업들이 미래 대한민국의 대표기업으로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성장을 통해 국가전략기술의 육성에 힘써 주시길 부탁한다”며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전문 확인 (URL 클릭)

 

[출처] 서유덕 기자 |  정보통신신문


당사 웹사이트에 공유된 모든 보도 자료는 부분적으로 발췌되었습니다. 콘텐츠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원래 게시자의 재산으로 유지됩니다.

원본 게시자의 허가 없이 공유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사, 복제 또는 재배포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됩니다.